본문 바로가기
728x90

화학6

[화학] 유효숫자를 이용한 계산 방법 반올림 규칙 화학에서의 반올림 규칙은 수학에서의 반올림과 약간 다릅니다. - 반올림을 할 때, 반올림하는 마지막 자리 아래의 모든 숫자를 고려하여 반올림해야 합니다. 1. 마지막 유효 숫자 다음의 높은 자리 숫자가 절반보다 크면 올림 41.7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42 2. 마지막 유효 숫자 다음의 높은 자리 숫자가 절반보다 작으면 내림 41.3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41 3. 마지막 유효 숫자 다음의 높은 자리 숫자가 정확히 절반일 경우 앞자리가 홀수면 올림, 짝수면 내림 41.5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앞자리가 홀수이므로 42 42.5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앞자리가 짝수이므로 42 가장 가까운 짝수로 반올림하는 것입니다. 추가 예시 유효숫자 3개로 반올.. 2023. 10. 12.
[화학] 유효숫자(Signigicant figures)와 과학적 표기법 유효숫자란?어떤 측정값이 있을 때 불확실한 마지막 숫자까지 포함한 측정값의 모든 자릿수 또는측정값을 구성하는 숫자들 중에서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숫자를 유효숫자라고 합니다. 측정값의 맨 마지막 숫자는 오차 범위가 1로 부정확하지만 유효숫자로 인정됩니다. 과학적 표기법실제로 과학 실험 등을 할 때 측정값은 매우 크거나 작으므로 0을 덜 쓰는 방법을 이용합니다.과학적 표기법은 A x 10^B 의 형태로 나타내는 표기법으로서 A와 B의 범위는 (1 입니다.예)3500000 -> 3.5 x 10^60.000000587 -> 5.87 x 10^-7 58.7 x 10^-6은 소수 부분의 범위가 10보다 크기 때문에 과학적 표기법으로는 어긋나는 표현입니다.1.5 x 10^2.2는 지수 부분이 정수가 아니므.. 2023. 10. 12.
[화학] VBT(원자가 결합 이론)(4) - 혼성 오비탈(sp) SP 혼성화 sp 혼성화는 180도의 결합각을 가지고 1차원의 직선형 형태를 보입니다. 1개의 2s 오비탈과 1개의 2p 오비탈이 혼성화하여 2개의 sp 오비탈이 형성되는데요. 이때, 2p 오비탈 두 개는 남게 되고 파이 결합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남은 2p 오비탈에 전자가 없다면 전자쌍 받개로서 작용합니다. BeCl2와 C2H2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더 정교화된 그림으로 Be의 sp 혼성화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BeH2와 BeCl2 모두 같은 맥락으로 sp 혼성화를 진행합니다. 아래는 BeH2의 혼성화를 표현한 그림입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해서 sp3, sp2, sp 혼성 오비탈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sp3d와 sp3d2 혼성화가 있지만 이 블로그에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 2023. 8. 31.
[화학] VBT(원자가 결합 이론)(3) - 혼성 오비탈(sp2) SP2 혼성화 sp2 혼성 오비탈은 120도의 결합각을 가지고 2차원 평면 구조의 특징을 가집니다. 즉, 평면삼각형 형태를 보이는 것이죠. 3개의 sp2 혼성 오비탈은 1개의 2s 오비탈과 두 개의 2p오비탈이 혼성화에 참여하여 형성되는데요. 이때 2p 오비탈 한 개는 남게 되고 파이 결합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남은 2p 오비탈에 전자가 없다면 전자쌍 받개로서 작용합니다. 예시로 BF3를 들어볼까요? 아래 그림은 BF3의 혼성화를 시각적으로 아주 잘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추가적으로 C2H4의 그림을 살펴보면 남은 한 개의 p오비탈이 어떻게 파이 결합을 형성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C2H4에서 C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sp2 혼성화 과정을 거칩니다. H와 C가 s-sp2 끼리 시그마 결합을 형성한다는 .. 2023. 8. 30.
[화학] VBT(원자가 결합 이론)(2) - 혼성오비탈(sp3) 혼성화(hybridization)란? 혼성화란 같은 원자에 있는 원자 오비탈들을 수학적으로 혼합하여 새로운 동등한 에너지를 가진 오비탈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 혼성화에 의해 만들어진 오비탈을 혼성오비탈이라 합니다. 그런데 혼성화는 왜 필요할까요? 서로 다른 원자의 홀전자가 포함된 오비탈끼리 겹침으로써 공유 결합을 설명하는 것이 VBT의 핵심이었습니다. 그러나 VBT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구조들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혼성화가 도입되었는데요. CH4 분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오비탈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위에서 예시로 들었던 CH4(메테인) 분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혼성화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SP3 혼성화 sp3 혼성오비탈은 .. 2023. 8. 29.
[화학] VBT(원자가 결합 이론)(1) - VBT와 시그마,파이 결합 VBT란? VBT는 한국어로 '원자가 결합 이론' 입니다. VBT는 편재화된 결합 모형으로서 전자를 입자관점에서 설명하며 전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자쌍은 특정 원자에 편재화(고립 전자쌍)되어 있거나 두 원자 사이 공간(결합 전자쌍)에 편재화됩니다. 이 이론은 홀전자가 포함된 원자 오비탈끼리의 공유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으로 대표적인 예시로는 루이스 구조, 공명, 혼성 오비탈, VSEPR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모형의 장점은 분자 모양을 알아보고 예측하기 용이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분자의 자기적 성질, 결합 차수, 분광학적 성질 등을 알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VBT의 단점은 곧 MOT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MOT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원자가 결합은 다음과 같이 형.. 2023. 8.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