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생명과학

[생명과학] 골격근(3) - 골격근 수축의 조절

by Homo_Viator 2023. 8. 19.
골격근 수축의 조절(1) - 칼슘과 조절 단백질

아래 그림은 액틴 필라멘트의 구성이다.

출처 : 캠벨 생명과학

  • 트로포마이오신(밧줄) - 마이오신 헤드가 결합하는 액틴의 결합자리를 물리적으로 가린다.
  • 트로포닌 복합체(밧줄 위치 조정) - 트로포마이오신에 붙어 있고 칼슘이온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다.
  • 근육섬유 안 칼슘이온 농도가 증가했을 때 트로포닌 복합체에 칼슘 이온이 결합할 수 있다. 결합하면 밧줄 위치가 옮겨지며 트로포마이오신에 가려져 있던 마이오신 결합자리가 노출된다.

액틴 필라멘트 결합자리 노출 여부를 통해 골격근 수축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노출 여부는 칼슘 이온이 결정하기 때문에 골격근 운동에 칼슘 이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골격근 수축의 조절(2) - 운동 신경과 근육 섬유의 연결

출처 : 위키피디아

위 사진에서 나오는 T-tubule을 T관, T세관, T소관이라 부르고 Sarcoplasmic reticulum을 근소포체라고 부른다.

  • T관의 모양은 마치 세포막이 안으로 훅 들어갔다가 나오는 것처럼 생겼다. 이 T관을 통해 막전위의 변화가 안쪽, 즉 근소포체까지 전달될 수 있다.
  • 근소포체는 근육 원섬유를 감싸고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근소포체는 거대한 칼슘 이온 저장고로 위에서 다뤘던 조절에 쓰이는 칼슘 이온들이 근소포체에서 방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운동 신경과 근육 섬유가 제대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골격근 수축의 조절(3)

체성신경계로부터의 골격근 수축 조절 사진이다.

출처 : 캠벨 생명과학

운동을 안 해야 할 때는? ->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지 않고 칼슘이온 통로가 닫혀 세포 내 칼슘이온이 다시 근소포체로 들어간다.

사진 출처 : https://blog.naver.com/kdhspy007/22155766496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