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화학
[화학] VBT(원자가 결합 이론)(4) - 혼성 오비탈(sp)
Homo_Viator
2023. 8. 31. 14:24
SP 혼성화 |
sp 혼성화는 180도의 결합각을 가지고 1차원의 직선형 형태를 보입니다.
1개의 2s 오비탈과 1개의 2p 오비탈이 혼성화하여 2개의 sp 오비탈이 형성되는데요.
이때, 2p 오비탈 두 개는 남게 되고 파이 결합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남은 2p 오비탈에 전자가 없다면 전자쌍 받개로서 작용합니다.
BeCl2와 C2H2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더 정교화된 그림으로 Be의 sp 혼성화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BeH2와 BeCl2 모두 같은 맥락으로 sp 혼성화를 진행합니다.
아래는 BeH2의 혼성화를 표현한 그림입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해서 sp3, sp2, sp 혼성 오비탈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sp3d와 sp3d2 혼성화가 있지만 이 블로그에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다.
문제를 풀거나 분자의 구조를 봤을 때 입체수를 통해 그 원자가 어떻게 혼성화하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을 다음 표로 총정리하고자 합니다.
입체 수 | 혼성 궤도 함수 | 모양 | 결합각 |
2 | sp | 직선형 | 180도 |
3 | sp2 | 평면삼각형 | 120도 |
4 | sp3 | 정사면체 | 109.5도 |
5 | sp3d | 삼각쌍뿔 | 90도, 120도 |
6 | sp3d2 | 정팔면체 | 90도 |
>>이전 글 : VBT와 시그마,파이 결합 https://nomadsjh.tistory.com/28
>>이전 글 : 혼성오비탈(sp3) https://nomadsjh.tistory.com/29
>>이전 글 : 혼성오비탈(sp2) https://nomadsjh.tistory.com/30
위 사진들 출처 : https://www.chem1.com
728x90